본문 바로가기

20254

[워크숍]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단체 워크숍 <복잡해지기 전에 만지작 만지작> 2025인천문화재단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단체 워크숍복잡해지기 전에 만지작 만지작2025. 4. 4. (금) 13:30-16:30인천 내리마루 문화쉼터∘ 대상 : 지원사업 선정자 24명 ∘ 진행 : 주강사_최선영, 보조강사_구은정, 이려진(촉각, 이야기 오브제 제공 : 구은정, 이려진, 이재환) 예술교육가가 유아 문화예술교육에서 참여자를 고려한 작은 단위의 표현, 놀이 행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놀이+대화 워크숍 형태로 마련했다. 지원사업의 운영 구조 안에서 예술교육가의 질문 범위가 좁아지거나 복잡해지지 않도록 주요 요소를 다시 살펴보고 개별 사업의 기준을 떠올려보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예술교육가에게 흥미로운 놀이 요소가 개별 사업에서도 핵심 기준이 될 수 있도록 각자에게 감각적,.. 2025. 4. 5.
[글] <제3회 국민일보 아르브뤼 미술상> 도록 원고 2022년에 쓴 글 ”장애, 그리고 예술이라는 함정 옆에서 ‘예술하기’“가 도록에재수록되었습니다. *전문보기 :국민일보 아르브뤼 미술상 홈페이지 자료실 https://drive.google.com/file/d/1ShHRNjZOM1kpsNWiK77-Om4MfQdwKadk/view?usp=drivesdk또는 https://uugoorichoi.tistory.com/31 [글] 장애, 그리고 예술이라는 함정 옆에서 ‘예술하기’『인간 탐구로서의 장애예술 연구』(감성정책연구소, 2022)수록 원고 장애, 그리고 예술이라는 함정 옆에서 ‘예술하기’ 최선영 / 문화예술기획자 비장애인 중심에서 정의된 예술의 범위장애인uugoorichoi.tistory.com*이 글은 최창희 외, 『인간 탐구로서의 장애예술 연구』(감성.. 2025. 3. 31.
[상시 진행] 찾아가는 그림토크 <이렇게도 살 수 있었네> 신청을 받습니다 찾아가는 그림토크 신청을 받습니다요즘 그린 그림들을 캐리어 가득 싣고 가서사는 얘기, 예술 얘기를 나눕니다. 어디서? 저를 불러주는 곳에서.언제까지? 제가 그만하고 싶을 때까지. (그림 : 이재환, 최선영)• 토크 가능 주제(중복 선택 가능)1. 예술계 진입하기 대신 예술‘도’ 하며 살아가기2. 무언가를 그린다는 것, 그전에 본다는 것3. 무리하며 사는 것의 가치와 재미4. 불안과 욕망 사이에서 해보는 선택들5. 아름답지 않은 예술’적‘ 창업6. 돈? 그동안의 고생과 앞으로의 고생7. 안 되는 걸 알면서 꿈꾸는 습관 들이기8. 오일파스텔의 오묘한 표현 세계9. 가끔 서울을 여행하며 지역에서 산다는 것10. 이렇게도 살 수 있는 솔직한 이유*진행 : 최선영(문화예술기획자)*신청대상 : 5인 이상 모인 경우.. 2025. 2. 16.
[글] 장애예술, 권리와 욕구에 대한 새로운 이름 사단법인 경기민예총 연간지 수록 원고장애예술, 권리와 욕구에 대한 새로운 이름최선영 / 문화예술기획자예술계 앞에서 궁금했던 것작가노트는 너무 장황하지도 개인적이지도 않게 A4 한 두장 분량으로 써야 했다. 포트폴리오는 20페이지 정도의 PPT나 PDF 파일 형태로 정리해야 적당했다. 작업만 하지 말고 전시 오프닝을 부지런히 다니며 비평가나 기획자에게 인사를 하라고, 선배들이 이야기했다. 그렇게 예술계 진입에 있어서도 적절하고 적당한 것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미술대학교 졸업반 시절에 많이 듣고 배웠다. 무언가를 ‘표현한다’는 것, 표현한 것을 ‘보여준다 것’, 보여준 것 중 모든 것이 예술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 그럴 필요도 없다는 것에 대해서는 길게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것은 너무 본질적이고 느린 사유.. 2025.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