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공유88

#장애예술 #장애인예술교육 #장애인문화예술교육 자료 (2021-2024) 2024 [책]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https://uugoorichoi.tistory.com/m/70"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description="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같이 좀 모르자 *온라인 구입 https://naver.me/x5GYF715 같이 좀 모르자 :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 이후북스[이후북스] 독립출판물 1인출판사 - 책방에서 놀탱smartstore.nave" data-og-host="uugoorichoi.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uugoorichoi.tistory.com/m/70"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kR9TW/hyXlL.. 2025. 2. 3.
[기획, 글] 장애/비장애 통합 문화예술교육 연구 모임 <누구를 만날지 모르니까>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장애/비장애 통합 문화예술교육 연구 모임 기획 및 모임 진행 누구를 만날지 모르니까 ◦ 기 간 : 2024.12.24. ~ 2025.1.21 매주 화요일 (총 4회) ◦ 장 소 :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 ◦ 대 상 : 장애/비장애 통합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있거나 교육 경험이 있는 예술가/예술교육가 5명 ◦ 진 행 : 최선영(문화예술기획자) ◦ 주요내용 - 장애/비장애 통합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개별성, 비언어적인 요소 탐색 및 언어화 연구 - 참여자에 집중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환경 및 구조 연구 -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와 함께 장애/비장애 통합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주요 요소 도출 (모임 후기 : 최선영)예술교육가들이 선택한 대화의 주제와 방향 : 문화예술.. 2025. 2. 3.
[쓰다 보면 읽히겠지] 06. 계속 무리하세요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 2025. 2. 2.
[상시 진행] 찾아가는 그림토크 <이렇게도 살 수 있었네> 신청을 받습니다 찾아가는 그림토크 신청을 받습니다요즘 그린 그림들을 캐리어 가득 싣고 가서사는 얘기, 예술 얘기를 나눕니다. 어디서? 저를 불러주는 곳에서.언제까지? 제가 그만하고 싶을 때까지. (그림 : 이재환, 최선영)• 토크 가능 주제(중복 선택 가능)1. 예술계 진입하기 대신 예술‘도’ 하며 살아가기2. 무언가를 그린다는 것, 그전에 본다는 것3. 무리하며 사는 것의 가치와 재미4. 불안과 욕망 사이에서 해보는 선택들5. 아름답지 않은 예술’적‘ 창업6. 돈? 그동안의 고생과 앞으로의 고생7. 안 되는 걸 알면서 꿈꾸는 습관 들이기8. 오일파스텔의 오묘한 표현 세계9. 가끔 서울을 여행하며 지역에서 산다는 것10. 이렇게도 살 수 있는 솔직한 이유*진행 : 최선영(문화예술기획자)*신청대상 : 5인 이상 모인 경우.. 2025. 1. 30.
[글] 장애예술, 권리와 욕구에 대한 새로운 이름 사단법인 경기민예총 연간지 특집 원고장애예술, 권리와 욕구에 대한 새로운 이름최선영 / 문화예술기획자예술계 앞에서 궁금했던 것작가노트는 너무 장황하지도 개인적이지도 않게 A4 한 두장 분량으로 써야 했다. 포트폴리오는 20페이지 정도의 PPT나 PDF 파일 형태로 정리해야 적당했다. 작업만 하지 말고 전시 오프닝을 부지런히 다니며 비평가나 기획자에게 인사를 하라고, 선배들이 이야기했다. 그렇게 예술계 진입에 있어서도 적절하고 적당한 것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미술대학교 졸업반 시절에 많이 듣고 배웠다. 무언가를 ‘표현한다’는 것, 표현한 것을 ‘보여준다 것’, 보여준 것 중 모든 것이 예술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 그럴 필요도 없다는 것에 대해서는 길게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것은 너무 본질적이고 느린 사유.. 2025. 1. 27.
[쓰다 보면 읽히겠지] 05. 나의 위치, 흔들리는 세계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 2025. 1. 26.
[쓰다 보면 읽히겠지] 04. 속는 셈 치고 복토크, 그 후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 2025. 1. 22.
[쓰다 보면 읽히겠지] 03. 미시적인 것으로 깊게 여는 세계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03.. 2025. 1. 16.
[쓰다 보면 읽히겠지] 02. 이런 미술, 이런 전시, 이런 삶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 2025. 1. 10.
[쓰다 보면 읽히겠지] 01. 꿈꾸는 근육을 남겨둬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쓰다 보면 읽히겠지 01.. 2025. 1. 6.
[쓰다 보면 읽히겠지] 소개 나는 혼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문화, 예술 관련 공공 프로젝트나 사업 기획을 하기도 한다. 창작, 기획, 문화예술교육 등을 주제로 강의나 컨설팅을 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과 마주 앉아 회의도 많이 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 안이나 강아지들과의 산책 길에 여러 생각을 한다. 그것은 구체적인 경험과 상상과 심정을 가로지른다. 나는 그 흐름을 글로 옮겨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다. 문화예술 분야의 질문이 특정 사업이나 제도, 이슈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의 삶은 여러 차원으로 연결, 교차되기 때문이다. 웹진이나 자료집 원고, 사업 보고서에는 담기 애매하지만 분명하게 떠오르는 현재의 질문을 계속 펼치고 싶다. 2025. 1. 3.
[기획/글] 충남문화관광재단 지원사업 간접지원과정 <빈칸 실험실> 충남문화관광재단2024 지원사업 ‘충남다원예술·사회적가치특화·예술교류’간접지원과정 총괄 기획 * 사업 기간 : 2024년 1월 ~ 12월 * 사업 규모 : 충남다원예술지원 10인, 사회적가치특화지원 5인, 충남예술교류지원 5인 * 추진 일정사업명워크숍(OT형)1:1인터뷰활동강화 교육체험‧탐방형활동강화 교육개별심화연구성과연구예술인 좌담회과정 나눔회강의워크숍추진 시기5월6-7월6-7월9월7-10월11월12월충남다원예술지원1회10회2회2회1회(충남권)5회1회1회사회적가치특화지원1회충남예술교류지원협력교류거점교류 비워둔 곳에서 만나다 최선영 / 간접지원과정 PM, 문화예술기획자 3년 차에 빈칸으로 시작하기보통의 사업은 3년 차가 되면 더욱 완성형의 계획을 세우곤 한다. 2년 동안 드.. 2025. 1. 1.
[글] 보편성이라는 벌판, 혹은 함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24 꿈다락 문화예술학교경향분석 원고 보편성이라는 벌판, 혹은 함정 최선영 / 문화예술기획자 보편성이란 무엇일까. ‘꿈다락 문화예술학교’(이하 ‘꿈다락’)의 올해 사업을 돌아보는 글을 쓰기 위해 관련 자료를 살펴보다가 문득 보편성의 의미가 궁금해졌다. 보편성의 사전적 의미는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이다.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삶에 골고루 전달되거나 스며들어야 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모든 것’, ‘두루’ 이 두 가지 조건이 매우 어렵고 이상적이라는 생각과 동시에 그럼에도 정책에서는 그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상황을 떠올리며 이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올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이 공모 안내와 함께 배포한 ‘꿈다락 문화예술학.. 2024. 12. 24.
[상시 진행]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같이 좀 모르자> 북토크 신청을 받습니다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어디로 갈지 모르는 “북토크”신청을 받습니다!📗📗📗*진행 : 최선영 (문화예술기획자)*신청대상 : 5인 이상 모인 경우 누구나 신청 가능*일정, 장소, 참여비 : 신청인과 협의 후 결정(제가 뚜벅이라서 너무 멀리는 못갑니다🏃🏽‍♀️)*신청방법 : 메일이나 문자 주시면 협의 후 진행합니다vosIss@hanmail.net / 010-8504-1077🌿🌿🌿네이버에서 “같이 좀 모르자”를 검색하면이후북스를 통해 온라인 구매가 가능합니다. https://naver.me/xv3UUzUG 같이 좀 모르자 :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 이후북스[이후북스] 독립출판물 1인출판사 - 책방에서 놀탱smartstore.naver.com 2024. 12. 18.
[책]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같이 좀 모르자>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같이 좀 모르자*온라인 구매https://naver.me/x5GYF715 같이 좀 모르자 : 장애인 예술교육 강의 노트 : 이후북스[이후북스] 독립출판물 1인출판사 - 책방에서 놀탱smartstore.naver.com■ 책 소개 나는 장애인 예술교육에 대한 강의를 여러 현장에서 해오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했던 생각을 이 책을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몇 년 전부터는 예술가, 예술교육가, 기획자, 활동가, 실무자,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메일이나 SNS 메시지로 예술교육 관련 질문을 보내오기도 하는데 이 책은 그분들을 떠올리며 쓴 책이다. 그 메시지에 내가 답변을 할 때에는 주로 그동안 쓴 글의 웹페이지 주소나 연구 보고서 파일을 보내고 있지만 문득 그러한 글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 2024. 12. 15.
[워크숍] 문화시설별 접근성 가이드 배포 연계 워크숍 <공감하고, 행동하기>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2024 문화시설별 접근성 가이드 배포 연계 워크숍    전시 분야 워크숍“실패와 수정 사이 : 예술교육에 접근한다는 것" 누군가 예술교육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욕구와 속도를 바탕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작은 도구, 일상적 관계, 유연한 태도를 통한 예술교육 접근성에 대해 고민해본다. 이를 위해 탐색+표현 도구를 직접 만져보며 개별성 중심의 예술교육을 위한 질문과 실천을 나눈다.(표현도구 제작 및 대여 : 구은정, 이재환)              다운로드 :https://www.kdac.or.kr/board/read?boardManagementNo=23&boardNo=3701&searchCategory=&page=1&searchType=&searchWord=&leve.. 2024. 12. 15.
[워크숍]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나는 어떻게 놀았더라?> 2024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놀이 감각을 잃어버린 예술교육가를 위한 워크숍입니다. 예술가가 만든 놀잇감으로 일단 놀아보고, 나는 어릴 때 어떻게 놀았는지, 주변의 아이들은 어떻게 노늘지 놀이의 배경부터 살펴봅니다. 워크숍에서는 어린이 문화예술교육을 공부하지 않으며, 놀잇감을 제작하거나 놀이 콘텐츠를 개발하지 않습니다. 나만이 가진 직관적인 예술성과 놀이의 연결 지점을 생각해 봅니다. 프로그램명 :  ● 참여대상 : 어린이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있는 예술교육가, 기획자, 예술가 등 - 재단 지원사업(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을 통해 어린이를 만나고 있는 분 - 어린이 대상 문화예술교육을 시도해 보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연한 분.. 2024. 12. 15.
[글] 공교육 현장에서 장애예술교육의 역할과 방향 : 프로그램 확대를 넘어 교육 주체의 협력으로 2024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충북지역 성과공유회 및 포럼 발제문 공교육 현장에서 장애예술교육의 역할과 방향 : 프로그램 확대를 넘어 교육 주체의 협력으로*본 글에서는 공교육 중심의 논의를 위해 예술교육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최선영 / 문화예술기획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불안정성문화예술교육은 제도적 배경 안에서 생겨난 개념이자 공공성을 중심에 두고 있음에도 정책적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된 사업도 정치적 상황에 따라 급격한 변화를 겪기도 하고 권리 중심으로 논의되던 제도도 안정적 운영 구조를 마련하지 못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한 최근의 대표적인 사례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부가 발표한 2025년 .. 2024. 12. 8.
[글] 석달 동안의 ‘갈 곳’, 지속적인 표현의 장소로 2024 천안문화재단발달장애인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원고프로그램 세부 내용https://cfac.or.kr/bbs/board.php?bo_table=biz&wr_id=668 교육인원 모집 공고 > 지원사업 | "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description="메뉴담당자 담당부서사업담당부서 연락처- 최종수정일2012-12-14" data-og-host="cfac.or.kr" data-og-source-url="https://cfac.or.kr/bbs/board.php?bo_table=biz&wr_id=668"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x9pga/hyXDflkCIf/Z2XHXWsE0FpVAGKURRhnU1/im.. 2024. 11. 28.
[좌담] 충청 지역 장애예술 지형 :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터전을 만들기 위해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웹진 이음 59호 충청 지역 장애예술 지형 :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터전을 만들기 https://ieum.or.kr/user/webzine/view.do?zn=59&idx=710 이음온라인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장애 예술 전문 지식 플랫폼. 문화소식/뉴스/미디어/웹진 이음/참여하기/이용안내/배리어프리 콘텐츠/접근성콘텐츠/뉴스레터 구독ieum.or.kr 2024. 11. 28.